맨위로가기

고대 동슬라브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동슬라브어는 현대 동슬라브어군의 조상으로, 10세기부터 13세기까지 동슬라브족이 사용했던 언어를 지칭한다. 이 언어는 '고대 러시아어'로도 불리지만, 초기 단계는 현대 동슬라브어의 방언 분화 이전의 언어를 가리키므로 '고대 동슬라브어'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 음운론적으로는 모음 중복, 강세의 위치, 자음의 구개음화 등에서 특징을 보이며, 서슬라브어 및 남슬라브어와 차이를 보인다. 고대 동슬라브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며, 종교 텍스트, 법전, 연대기 등 다양한 문학 작품이 존재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방언이 분화되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러시아어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슬라브어군 - 루신어
    루신어는 카르파티아 산맥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동슬라브어로, 카르파티아 루신어와 판노니아 루신어로 나뉘며, ISO 639-3 코드 'rue'를 부여받아 독립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고, 여러 국가에서 소수민족 언어로 보호받지만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간주된다.
  • 동슬라브어군 - 루테니아어
    루테니아어는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의 조상 언어로, 학자들은 '루테니아어'라는 외부 명칭을 포함한 다양한 명칭으로 이 언어와 변종을 지칭하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행정 언어로 발전했다.
  • 슬라브어파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슬라브어파 - 고대 교회 슬라브어
    9세기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형제가 슬라브족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표준화한 고대 교회 슬라브어는 남슬라브어의 한 갈래로, 동남 슬라브어의 특징을 보존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모체가 되었고, 불가리아에서는 고대 불가리아어라고도 불린다.
  • 유럽의 사어 - 노른어
    노른어는 8~9세기 노르드인이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에 정착하며 고대 서노르드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쇠퇴, 18~19세기 초 소멸했지만 현재는 일부 단어와 니노른어 형태로 남아있다.
  • 유럽의 사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고대 동슬라브어
언어 정보
이름고대 동슬라브어
다른 이름해당 사항 없음
원어 이름роусьскъ, rusĭskŭ
지역동유럽
사용 시기7세기 또는 8세기부터 13세기 또는 14세기까지
소멸 시기15세기경
발전러시아어루테니아어로 발전
ISO 639-3orv
글롯토로그oldr1238 (Old Russian)
링귀스트 목록orv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슬라브어파
어군슬라브어파
하위 어군동슬라브어군
문자
문자 체계초기 키릴 문자

2. 명칭

고대 동슬라브어는 현대 동슬라브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지만,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용어는 아니다. 이 언어는 전통적으로 '고대 러시아어'로도 알려져 있지만, 이 용어는 시대착오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용어가 지칭하는 언어의 초기 단계는 현대 동슬라브어의 초기 구분을 나타내는 방언적 분열보다 앞서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또는 '공통 동슬라브어')를 더 적절한 용어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 언어를 '고대 루스어'[1] 또는 '고대 루산어',[2] '루스어' 또는 단순히 '루스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들은 가장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

우크라이나계 미국 언어학자 조지 셰벨로프는 동슬라브족의 가설적 통일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공통 러시아어' 또는 '공통 동슬라브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미국 슬라브학자 알렉산더 M. 쉔커는 동슬라브족의 중세 언어에 대한 현대 용어는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 언어에 대해 중립적인 용어인 '동슬라브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 언어는 모든 동슬라브족에게 각자의 국가 역사의 일부이므로 다음과 같이 불리기도 한다.[11]

언어명칭
우크라이나어Old Ukrainian Language, OU|고대 우크라이나어영어, давньоукраїнська моваuk
고 키예프어Old Kyivan Language, OK|고대 키예프어영어, давньокиївська моваuk
벨라루스어Old Belarusian Language, OB|고대 벨라루스어영어, старажытнабеларуская моваbe
고루스어Old Rus’ian language, Old Ruthenian language, OR|고대 루스어영어, старажытнаруская моваbe, давньоруська моваuk[12]
러시아어, 초기 러시아어[13]Old Russian, OR|고대 러시아어영어, древнерусскийru



각 번역어의 "고"에 관해서는 "초기" 또는 "고대"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3. 음운론

고대 동슬라브어는 원시 슬라브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이른바 전음성(또는 ''polnoglasie'' '완전 모음화')의 발달로, 다른 슬라브어 방언들과 구별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공통 슬라브어고대 동슬라브어의미
*gordъgorodъ정착지, 마을
*melkomoloko우유
*korvakorova



다른 슬라브 방언들은 폐쇄 음절 군 *eRC와 *aRC를 유동 자음 전위(남슬라브어 및 서슬라브어)로 해결하거나 변화를 주지 않는 방식으로 달랐다.

현존하는 기록이 부족하여 언어의 통일성을 평가하기는 어렵다. 키예프 루스를 구성했던 부족과 씨족의 수를 고려하면, 고대 동슬라브어에는 많은 방언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1150년까지, 이 언어는 공통 슬라브어의 4개의 지역 거대 방언 중 가장 지역적 변이가 적었다. 1000년경, 이 언어는 분화되기 시작했다.[3] 1100년 이후 키예프 루스가 분열되면서 방언 분화가 가속화되었다. 지역 언어는 12세기 또는 13세기부터 구별되었다.[3]

시간이 흐르면서, 이 언어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노브고로드, 모스크바, 남러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어의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고, 우크라이나어도 형성되었다. 이 언어들은 각각 고대 동슬라브어 문법과 어휘의 많은 부분을 보존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어보다 교회 슬라브어에서 더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잘리즈냑의 연구에 따르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주요 언어 차이는 현대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가 위치한 지역 사이가 아니라, 동슬라브 지역의 북서부(벨리키 노브고로드 및 프스코프 주변)와 중부(현대 키예프, 수즈달, 로스토프, 모스크바, 벨라루스 주변) 사이였다. 당시의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은 중앙 동슬라브 방언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슬라브어와도 후대보다 훨씬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잘리즈냑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그 방언과 중앙 방언의 수렴으로 발전한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 중앙 방언의 발달을 지속한 것이다.

러시아 언어학자 세르게이 니콜라예프는 슬라브 방언의 억양 체계의 역사적 발달을 분석하면서 키예프 루스의 다른 부족들이 다른 슬라브 분파에서 왔고 먼 슬라브 방언을 사용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G. A. 카부르가예프를 비롯한 다수의 우크라이나 언어학자 (스테판 스말-스토츠키, 이반 오히옌코, 조지 셰벨로프 등)는 과거 어느 시점에도 공통된 고대 동슬라브어가 존재했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들에 따르면, 동슬라브 부족의 방언은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공통 원시 슬라브어에서 점진적으로 진화했다.

"타타르의 지배"가 끝난 후, 전 키예프 루스의 영토는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나뉘었고, 이 국가에서 두 개의 분리된 문학 전통, 즉 서부의 루테니아어와 동부의 중세 러시아어가 등장했다.[4][5][6]

슬라브 조어로부터 발전한 고대 동슬라브어는 다른 슬라브어군에는 없는 동슬라브 제어의 특징인 폴노글라시에(충음 또는 모음 중복) 현상을 보인다.


  • 서슬라브어 및 남슬라브어와 달리 모음 중복이 보인다. 예를 들어,
  • 서슬라브어: /m'''le'''ko/ 동슬라브어: /m'''olo'''ko/ (우유)
  • 교회 슬라브어: /V'''la'''dimir/ 동슬라브어: /V'''olo'''dymir/ (블라디미르)
  • 남슬라브어: /g'''ra'''d/ 동슬라브어: /g'''oro'''d/ (도시)
  • 강세가 없는 о는 우크라이나어처럼 [о]로 발음한다. 벨라루스어러시아어처럼 [а]로 발음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 동슬라브어: /koróva/ [k'''o'''rova] (소)
  • 우크라이나어: /koróva/ [k'''o'''rova] (소)
  • 러시아어: /koróva/ [k'''a'''rova] (소); 단, 러시아어 북부 방언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타난다.
  • г, к, х는 항상 경음이며, 구개음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슬라브어 /'''кы'''ъвъ/ 또는 /'''кы'''Ѣвъ/ (['''kɨ'''jevъ] 또는 ['''kɪ'''jivъ]) (키예프)와 같다.
  • ф는 그리스어 계통의 외래어에만 문어체로 사용되며, /hw/, /h/, /p/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Ε'''φ'''ραίμ은 О'''х'''рѣмъ 또는 Е'''х'''рѣмъ이고, '''Φ'''ιλίππος는 '''П'''илипъ이다.

3. 1. 모음

초기 고대 동슬라브어의 구두 모음은 다음과 같다.

초기 고대 동슬라브어의 구두 모음
colspan="2" rowspan="2" |전설후설
비원순원순
폐쇄긴장иу
이완ьъ
이완ео
긴장ѣa



비강 모음은 다음과 같다.

비강 모음
전설후설
ѧѫ



ꙗ, ѥ, ю, ѩ, ѭ와 같은 요타화된 변이음도 있었다.

후기 고대 동슬라브어의 구두 모음은 다음과 같다.

후기 고대 동슬라브어의 구두 모음
colspan="2" rowspan="2" |전설후설
비원순원순
폐쇄긴장иу
ео
긴장ѣa



13세기까지 ь와 ъ는 무성음이 되거나 е와 о로 합쳐졌고, ѧ와 ѫ는 각각 ꙗ와 у로 합쳐졌다.

서슬라브어 및 남슬라브어와 달리 모음 중복이 보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서슬라브어: /m'''le'''ko/ 동슬라브어: /m'''olo'''ko/ (우유)
  • 교회 슬라브어: /V'''la'''dimir/ 동슬라브어: /V'''olo'''dymir/ (블라디미르)
  • 남슬라브어: /g'''ra'''d/ 동슬라브어: /g'''oro'''d/ (도시)


강세가 없는 о는 우크라이나어처럼 [о]로 발음한다. 벨라루스어러시아어처럼 [а]로 발음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동슬라브어: /koróva/ [k'''o'''rova] (소)
  • 우크라이나어: /koróva/ [k'''o'''rova] (소)
  • 러시아어: /koróva/ [k'''a'''rova] (소); 단, 러시아어 북부 방언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타난다.


г, к, х는 항상 경음이며, 구개음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кы'''ъвъ/ 또는 /'''кы'''Ѣвъ/ (['''kɨ'''jevъ] 또는 ['''kɪ'''jivъ])는 키예프를 뜻한다.

ф는 그리스어 계통의 외래어에만 문어체로 사용되며, /hw/, /h/, /p/로 발음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Ε'''φ'''ραίμ은 О'''х'''рѣмъ 또는 Е'''х'''рѣмъ
  • '''Φ'''ιλίππος는 '''П'''илипъ

3. 2. 자음



고대 동슬라브어는 원시 슬라브어의 모든 자음을 유지했지만, ť와 ď는 각각 č와 ž로 합쳐졌다. 11세기 이후, 모든 자음은 전설 모음 앞에서 구개음화되었다.


  • г, к, х는 항상 경음이며, 구개음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슬라브어 /'''кы'''ъвъ/ 또는 /'''кы'''Ѣвъ/ (['''kɨ'''jevъ] 또는 ['''kɪ'''jivъ]) (키예프)와 같다.
  • ф는 그리스어 계통의 외래어에만 문어체로 사용되며, /hw/, /h/, /p/로 발음한다. 예를 들어, Ε'''φ'''ραίμ은 О'''х'''рѣмъ 또는 Е'''х'''рѣмъ이고, '''Φ'''ιλίππος는 '''П'''илипъ이다.

3. 3. 특징

고대 동슬라브어는 원시 슬라브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이른바 전음성(또는 ''polnoglasie'' '완전 모음화')의 발달로, 다른 슬라브어 방언들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공통 슬라브어고대 동슬라브어의미
*gordъgorodъ정착지, 마을
*melkomoloko우유
*korvakorova



다른 슬라브 방언들은 폐쇄 음절 군 *eRC와 *aRC를 유동 자음 전위(남슬라브어 및 서슬라브어)로 해결하거나 변화를 주지 않는 방식으로 달랐다.

현존하는 기록이 부족하여 언어의 통일성을 평가하기는 어렵다. 키예프 루스를 구성했던 부족과 씨족의 수를 고려하면, 고대 동슬라브어에는 많은 방언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1150년까지, 이 언어는 공통 슬라브어의 4개의 지역 거대 방언 중 가장 지역적 변이가 적었다. 1000년경, 이 언어는 분화되기 시작했다.[3] 1100년 이후 키예프 루스가 분열되면서 방언 분화가 가속화되었다. 지역 언어는 12세기 또는 13세기부터 구별되었다.[3]

시간이 흐르면서, 이 언어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노브고로드, 모스크바, 남러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어의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고, 우크라이나어도 형성되었다. 이 언어들은 각각 고대 동슬라브어 문법과 어휘의 많은 부분을 보존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어는 우크라이나어보다 교회 슬라브어에서 더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잘리즈냑의 연구에 따르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주요 언어 차이는 현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위치한 지역 사이가 아니라, 동슬라브 지역의 북서부(현대 벨리키 노브고로드 및 프스코프 주변)와 중부(현대 키예프, 수즈달, 로스토프, 모스크바, 벨라루스 주변) 사이였다. 당시의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은 중앙 동슬라브 방언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슬라브어와도 후대보다 훨씬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잘리즈냑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그 방언과 중앙 방언의 수렴으로 발전한 반면,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 중앙 방언의 발달을 지속한 것이다.

러시아 언어학자 세르게이 니콜라예프는 슬라브 방언의 억양 체계의 역사적 발달을 분석하면서 키예프 루스의 다른 부족들이 다른 슬라브 분파에서 왔고 먼 슬라브 방언을 사용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G. A. 카부르가예프를 비롯한 다수의 우크라이나 언어학자 (스테판 스말-스토츠키, 이반 오히옌코, 조지 셰벨로프 등)는 과거 어느 시점에도 공통된 고대 동슬라브어가 존재했다는 것을 부정한다. 그들에 따르면, 동슬라브 부족의 방언은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공통 원시 슬라브어에서 점진적으로 진화했다.

"타타르의 지배"가 끝난 후, 전 키예프 루스의 영토는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나뉘었고, 이 국가에서 두 개의 분리된 문학 전통, 즉 서부의 루테니아어와 동부의 중세 러시아어가 등장했다.[4][5][6]

고대 동슬라브어는 슬라브 조어로부터 발전하여 그 특징을 많이 계승하고 있다. 이 언어의 진화에서 특기할 만한 현상은 이른바 충음 또는 모음 중복(pleophony, 폴노글라시에)라고 불리며, 다른 슬라브어군에는 없는 동슬라브 제어의 특징이다.


  • 서슬라브어 및 남슬라브어와 달리 모음 중복이 보인다. 예를 들어,
  • 서슬라브어: /m'''le'''ko/ 동슬라브어: /m'''olo'''ko/ (우유)
  • 교회 슬라브어: /V'''la'''dimir/ 동슬라브어: /V'''olo'''dymir/ (블라디미르)
  • 남슬라브어: /g'''ra'''d/ 동슬라브어: /g'''oro'''d/ (도시)
  • 강세가 없는 о는 우크라이나어처럼 [о]로 발음한다. 벨라루스어 및 러시아어처럼 [а]로 발음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 동슬라브어: /koróva/ [k'''o'''rova] (소)
  • 우크라이나어: /koróva/ [k'''o'''rova] (소)
  • 러시아어: /koróva/ [k'''a'''rova] (소); 단, 러시아어 북부 방언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타난다.
  • г, к, х는 항상 경음이며, 구개음화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 동슬라브어: /'''кы'''ъвъ/ 또는 /'''кы'''Ѣвъ/ ['''kɨ'''jevъ] 또는 ['''kɪ'''jivъ] (키예프)
  • ф는 그리스어 계통의 외래어에만 문어체로 사용되며, /hw/, /h/, /p/로 발음한다.
  • Ε'''φ'''ραίμ은 О'''х'''рѣмъ 또는 Е'''х'''рѣмъ
  • '''Φ'''ιλίππος는 '''П'''илипъ

4. 지역적 특징

고대 동슬라브어는 원시 슬라브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여러 특징을 공유한다. 특히, 다른 슬라브어 방언들과 구별되는 "전음성"("polnoglasie", '완전 모음화')이 발전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공통 슬라브어 ''*gȏrdъ'' ('정착지, 마을') > 고대 동슬라브어 ''gorodъ''[1]
  • 공통 슬라브어 ''*melkò'' ('우유') > 고대 동슬라브어 ''moloko''[2]
  • 공통 슬라브어 ''*kòrva'' ('소') > 고대 동슬라브어 ''korova''[3]


다른 슬라브 방언들은 폐쇄 음절 군 *eRC와 *aRC를 유동 자음 전위(남슬라브어 및 서슬라브어)로 해결하거나 변화를 주지 않았다.

키예프 루스를 구성했던 부족과 씨족의 수 때문에, 고대 동슬라브어에는 많은 방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기록이 부족하여 통일성을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1150년까지는 공통 슬라브어의 지역 방언 중 지역적 변이가 가장 적었다.[4]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방언 분화가 가속화되어, 12세기 또는 13세기부터 지역 언어가 구별되기 시작했다.[5]

Kassian과 A. Dybo에 따른 발토-슬라브어 지도 및 계통도


동슬라브어의 발달


이후 노브고로드, 모스크바, 남러시아 지역에서 다양한 러시아어 변형이 나타났고, 우크라이나어도 형성되었다. 이들은 고대 동슬라브어의 문법과 어휘를 많이 보존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어는 교회 슬라브어에서 많은 단어를 차용했다.[6]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잘리즈냑에 따르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주요 언어 차이는 현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위치한 지역 사이가 아니라,[7] 동슬라브 지역의 북서부(현대 벨리키 노브고로드 및 프스코프 주변)와 중부(현대 키예프, 수즈달, 로스토프, 모스크바, 벨라루스 주변) 사이였다.[8] 당시의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은 다른 슬라브어와 큰 차이를 보였다.[9][10] 잘리즈냑은 러시아어가 이 방언과 중앙 방언의 수렴으로 발전했고,[11]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 중앙 방언의 발달을 지속했다고 주장한다.[12]

다른 러시아 언어학자 세르게이 니콜라예프는 슬라브 방언의 억양 체계 분석을 통해, 키예프 루스의 부족들이 다른 슬라브 분파에서 왔고 먼 슬라브 방언을 사용했다는 결론을 내렸다.[13]

G. A. 카부르가예프[14]와 다수의 우크라이나 언어학자(스테판 스말-스토츠키, 이반 오히옌코, 조지 셰벨로프 등)는 공통된 고대 동슬라브어의 존재를 부정한다.[15] 그들은 동슬라브 부족의 방언이 중간 단계 없이 공통 원시 슬라브어에서 점진적으로 진화했다고 주장한다.[16]

"타타르의 지배" 이후, 전 키예프 루스 영토는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나뉘었고,[17] 서부의 루테니아어와 동부의 중세 러시아어라는 두 개의 분리된 문학 전통이 등장했다.[18][19]

고대 동슬라브어는 키예프·체르니히우 중심의 남방 제어와 블라디미르·노브고로드 중심의 북방 제어로 구분된다. 전자는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로, 후자는 러시아어로 계승되었다.

남방 제어북방 제어
г또는 (유성 연구개/성문 마찰음)(유성 연구개 파열음)
ц와 ч(무성 치경 파찰음)와 (무성 후치경 파찰음) 구분두 음 혼합
и와 ыы로 읽히는 경향구분
ѣ비원순 전설 고모음에 가까움비원순 전설 중고모음에 가까움[20] (후에 우크라이나어는 , 러시아어는 로 변화)


기타 특징:


  • 서슬라브어 및 남슬라브어와 달리 모음 중복이 나타난다. (예: ''*melko'' > ''moloko'' (우유), ''*gordъ'' > ''gorod'' (도시))
  • 강세 없는 о는 [о]로 발음된다. (예: ''korova'' [korova] (소))
  • г, к, х는 항상 경음이며, 구개음화되지 않는다. (예: ''kyъvъ'' 또는 ''kyěvъ'' [kɨjevъ] 또는 [kɪjivъ] (키예프))
  • ф는 그리스어 계통 외래어에만 문어체로 사용되며, /hw/, /h/, /p/로 발음된다.

5. 문자

키예프 루스기독교를 받아들이고 고대 교회 슬라브어가 확립되기 약 1세기 전, 비잔틴 자료에는 기독교 이전의 유럽 러시아 슬라브족이 어떤 형태의 글쓰기를 사용했다는 언급이 있다. 10세기 수도사 체르노리제츠 흐라바르는 고대 슬라브족이 "획과 새김"으로 글을 썼다고 증언했지만, 이 체계의 정확한 성격은 알려져 있지 않다.

글라골 문자가 노브고로드의 교회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잠시 도입되었지만 곧 키릴 문자에 의해 완전히 대체되었다.[16] 노브고로드에서 발굴된 자작나무 껍질 문서는 10세기의 순수한 북서 러시아 방언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은 거의 없다.

6. 문학

키예프 루스는 988년에 기독교를 채택하고 고대 교회 슬라브어를 전례 및 문학 언어로 확립했다. 이는 현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기원이 되는 국가로의 정치적 통일보다 약 1세기 전의 일이다. 이 시기의 고대 동슬라브어 문서는 부족하여 문학 언어와 구어 방언 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파악하기 어렵다.

글라골 문자가 노브고로드의 교회 비문에서 볼 수 있듯이 잠시 도입되었지만 곧 키릴 문자에 의해 완전히 대체되었다.[17] 노브고로드에서 발굴된 자작나무 껍질 문서는 10세기의 순수한 북서 러시아 방언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영향이 거의 없다. 이 시기에 비잔틴 그리스어에서 차용어와 차용 번역이 구어에 유입되기 시작했고, 동시에 문학 언어가 동슬라브어로 수정되기 시작했다.

고대 동슬라브어는 독자적인 문학을 발전시켰지만, 그 문학의 상당 부분은 교회 슬라브어로 쓰여진 종교 텍스트의 양식과 어휘의 영향을 받았다. 현존하는 문학 작품으로는 법전인 ''루스카야 프라브다'', 성인전설교집, ''이고리 원정 이야기'', 그리고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원초 연대기''가 있다.

키예프의 힐라리온 대주교가 쓴 ''법과 은총에 관한 설교''는 고대 동슬라브어의 가장 오래된 연대 표본으로 여겨진다. 이 작품에는 동슬라브 민속 시의 영웅인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대공에 대한 찬가가 담겨 있다.

1056년 또는 1057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노브고로드의 ''오스트로미르 복음서''


11세기의 다른 작가로는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라의 수도사인 테오도시우스가 있는데, 그는 라틴 신앙과 몇몇 ''푸체니아'' 또는 ''훈령''에 대해 썼다. 노브고로드의 주교인 루카 지디아타는 ''형제들에게 보내는 담화''를 남겼다. 테오도시우스의 저술을 통해 우리는 많은 이교도적 습관이 여전히 사람들에게 유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디아타는 동시대의 많은 사람들보다 더 방언적인 스타일로 글을 쓰고, 비잔틴 작가들의 웅변적인 어조를 피했다.

네스토르 연대기 작가에게 귀속되는 ''원초 연대기''와 함께 러시아 연대기 작가들의 긴 연대기가 시작된다. 네스토르 연대기 작가에게 귀속된 작품 외에도 노브고로드, 키예프, 볼히니아 등의 연대기가 있다.

12세기에 투로프의 키릴 주교의 설교가 있는데, 이는 화려한 비잔틴 스타일을 고대 동슬라브어로 모방하려는 시도이다.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14세기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노브고로드인들이 자작나무 껍질 문서에 쓴 편지를 서로 주고받았다


11세기 말과 12세기 초에 성지를 방문한 이구멘 다니엘과 같은 초기 여행가들의 작품도 있다. 1470년에 인도를 방문한 트베르의 상인 아파나시 니키틴은 그의 모험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블라디미르 모노마흐가 아들들을 위해 쓴 ''푸체니에''("훈령")는 슬라브 공작의 일상 생활을 잘 보여주는 흥미로운 기념물이다. ''키예프 동굴 수도원의 파테리크''는 수도사들의 삶에서 나온 전형적인 중세 이야기 모음집이다.

이고리 원정 이야기는 노브고로드-세베르스크의 공작인 이고리 스뱌토슬라비치의 쿠만족에 대한 원정을 서술한다. 서사시도 아니고 시도 아니지만, 리듬감 있는 산문으로 쓰여졌다. 텍스트의 흥미로운 측면은 기독교와 고대 슬라브 신화의 혼합이다.

''자돈시치나''는 ''이고리 원정 이야기''와 매우 유사한 스타일의 산문시이다. 1380년 드미트리 돈스코이몽골에 대해 승리한 쿨리코보 전투에 대한 이 이야기는 세 가지 중요한 버전으로 전해진다.

루스의 초기 법은 야로슬라프 현공의 ''루스카야 프라브다''와 같이 많은 흥미로운 특징을 보여준다.

스뱌토슬라프의 ''선집''(1073)의 한 페이지

주요 작품

  • ''빌리나''
  • ''이고르 원정기'' – 이 언어의 가장 뛰어난 문학 작품
  • ''루스 법전'' – 현명공 야로슬라프가 반포한 11세기의 법전
  • ''갇힌 다니엘의 기도''
  • ''세 개의 바다를 건너는 여행''


1110년경에 쓰여진 원초 연대기의 서두 부분은 다음과 같다. (1377년 라브렌티 예서본에서)

: ''이것은 루스(Rus')의 나라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누가 키예프에서 처음으로 군림하기 시작했는가, 그리고 루스(Rus')의 나라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지난 세월의 이야기이다[17].''

1200년경에 쓰인 이고리 원정 이야기의 서두 부분은 다음과 같다. (14세기 프스코프 사본).

: "형제들이여, 스뱌토슬라프의 아들 이고리의 원정의 슬픈 이야기는 옛말로 시작하는 것이 어울리지 않겠는가? 이 노래는 보얀의 생각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금 시대의 방식으로 시작해야 한다. 말의 마법사 보얀은 누군가에게 노래를 지으려고 하면, 생각이 나무를 타고 퍼져 나간다. 땅에서는 회색 늑대처럼, 구름 아래에서는 갈색 독수리처럼"[18]

7. 현대 동슬라브어군과의 관계

현대 동슬라브어군에서 사용되는 고대 동슬라브어라는 용어는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1] 이 언어는 전통적으로 '고대 러시아어'로도 알려져 있지만,[2] 이 용어는 시대착오적일 수 있다. 왜냐하면 이 용어가 지칭하는 언어의 초기 단계는 현대 동슬라브어의 초기 구분을 나타내는 방언적 분열보다 앞서기 때문이다.[3] 따라서 많은 학자들이 '고대 동슬라브어'(또는 '공통 동슬라브어')를 더 적절한 용어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4]

일부 학자들은 이 언어를 '고대 루스어',[5] '고대 루산어',[6] '루스어' 또는 단순히 '루스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이것들은 가장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7]

조지 셰벨로프는 동슬라브족의 가설적 통일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공통 러시아어' 또는 '공통 동슬라브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8]

알렉산더 M. 쉔커는 동슬라브족의 중세 언어에 대한 현대 용어는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르다고 지적하면서,[9] 그 언어에 대해 중립적인 용어인 '동슬라브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10]

이 언어는 원시 슬라브어의 후손으로, 많은 특징을 유지했다. 새로 진화하는 동슬라브어를 다른 슬라브 방언과 구별하게 된 전음성(또는 ''polnoglasie'' '완전 모음화')이 발전했다. 예를 들어, 공통 슬라브어 '''' '정착지, 마을'은 고대 동슬라브어 ''gorodъ''로 반영되었고,[11] 공통 슬라브어 '''' '우유'는 고대 동슬라브어 ''moloko''가 되었으며,[12] 공통 슬라브어 '''' '소'는 고대 동슬라브어 ''korova''가 되었다.[13]

키예프 루스를 구성했던 부족과 씨족의 수를 고려할 때, 고대 동슬라브어에는 많은 방언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1150년까지 이 언어는 공통 슬라브어의 4개 지역 거대 방언 중 가장 미미한 지역적 변이를 보였다. 800년에서 1000년경 이 언어는 분화되기 시작했다.[14]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언어는 더욱 다양화된 형태로 진화했다. 1100년 이후 키예프 루스가 분열된 후, 방언의 분화가 가속화되었다.[15] 지역 언어는 12세기 또는 13세기부터 구별되었다.[16] 따라서 노브고로드, 모스크바, 남러시아 지역에서 러시아어의 다양한 변형이 진화했고, 한편 우크라이나어도 형성되었다. 이 언어들은 각각 고대 동슬라브어 문법과 어휘의 많은 부분을 보존하고 있다.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잘리즈냑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주요 언어 차이는 현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위치한 지역 사이가 아니라,[17] 동슬라브 지역의 북서부(현대 벨리키 노브고로드 및 프스코프 주변)와 중부(현대 키예프, 수즈달, 로스토프, 모스크바, 벨라루스 주변) 사이였다.[18] 당시의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은 중앙 동슬라브 방언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슬라브어와도 후대보다 훨씬 더 큰 차이를 보였다.[19] 잘리즈냑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그 방언과 중앙 방언의 수렴으로 발전한 반면,[20]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 중앙 방언의 발달을 지속한 것이다.

"타타르의 지배"가 끝난 후, 전 키예프 루스의 영토는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으로 나뉘었고, 이 국가에서 두 개의 분리된 문학 전통, 즉 서부의 루테니아어와 동부의 중세 러시아어가 등장했다.

8. 연구사

고대 동슬라브어라는 용어는 현대 동슬라브어에 사용되지만, 보편적으로 적용되지는 않는다.[3] 이 언어는 전통적으로 '고대 러시아어'로도 알려져 있다.[4][5][6][7] 그러나 이 용어는 시대착오적일 수 있는데, 이 용어가 지칭하는 언어의 초기 단계는 현대 동슬라브어의 초기 구분을 나타내는 방언적 분열보다 앞서기 때문이다.[8] 따라서 많은 저자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또는 '공통 동슬라브어')를 더 적절한 용어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9][10][11] '고대 러시아어'는 또한 18세기까지 러시아의 문어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으며,[12] 이때 '현대 러시아어'가 되었지만, 언어의 초기 단계는 종종 '고대 동슬라브어'라고 불린다.[13] 동슬라브족의 공통 언어 이후의 기간은 때때로 '중기 러시아어'[14] 또는 '대 러시아어'로 구분된다.[15]

일부 학자들은 이 언어를 '고대 루스어',[1] '고대 루산어',[2] '루스어' 또는 단순히 '루스어'라고 부르기도 한다.[16][17] 그러나 이것들은 가장 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이다.[18]

우크라이나계 미국 언어학자 조지 셰벨로프는 동슬라브족의 가설적 통일 언어를 지칭하기 위해 '공통 러시아어' 또는 '공통 동슬라브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9]

미국 슬라브학자 알렉산더 M. 쉔커는 동슬라브족의 중세 언어에 대한 현대 용어는 정치적 맥락에 따라 다르다고 지적했다.[20] 그는 그 언어에 대해 중립적인 용어인 '동슬라브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고대 동슬라브어의 포괄적인 어휘집을 편찬하려는 초기 시도는 19세기에 알렉산드르 보스토코프와 이즈마일 스레즈네프스키에 의해 이루어졌다. 스레즈네프스키의 ''[https://web.archive.org/web/20101125143351/http://imwerden.de/cat/modules.php?name=books&pa=last_update&pagenum=2&order=p.title,%20p.original&sort=&cid=26&lettereng=&letter= 필사본을 바탕으로 한 고대 러시아어 사전 자료]'' (1893–1903)는 미완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1975–99년에 24권의 학술 사전이 출판되기 전까지 표준 참고 자료로 남아 있었다.

참조

[1] 서적 New Contributions to the History of the Ukrainian Langu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16-12-06
[2] 학술지 The late origins of the glottonym "русский язык" 2022-11-01
[3]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6-26
[4] 서적 The Crimean Khanate and Poland-Lithuania: International Diplomacy on the European Periphery (15th–18th Century), A Study of Peace Treaties Followed by an Annotated Edition of Relevant Documents https://books.google[...] BRILL 2011-06-22
[5] 서적 Polish and Belorussian Dialects in Contact: A Study in Linguistic Convergenc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1995
[6] 서적 The Supplement to The Modern Encyclopedia of Russian, Soviet and Eurasian History: Bashkir Autonomous Soviet Socialist Republic – Bugaev, Boris Nikolaevich https://books.google[...]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2003
[7] 백과사전 ロシア語 ティビーエス・ブリタニカ
[8] 서적
[9] 서적 言語学大辞典
[10] 서적 ウクライナ語小史
[11] 문서 Old Ruthenian Language
[12] 서적 The making of the Russian nation 1977
[13] 서적 言語学辞典
[14] 사전 Полногла́сие 研究社
[15] 서적 Старославянский язык Высшая школа 1997
[16] 서적 ロシヤ年代記
[17] 서적 ロシヤ年代記
[18] 서적 イーゴリ遠征物語
[19] 서적 ロシア史
[20] 서적 ロシヤ年代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